#패스트캠퍼스 #패스트캠퍼스ai부트캠프 #업스테이지패스트캠퍼스 #upstageailab #국비지원 #패스트캠퍼스업스테이지에이아이랩 #패스트캠퍼스업스테이지부트캠프) 3

<7일차> ML 경진대회 : Regression Wrap up

일주일동안 (baseline code와 instruction은 일주일 전에 받아서 총 2주긴 했지만) ML 경진대회를 진행하고 추석이 지나서 결과물을 발표하고 마무리하는 시간을 가졌다. Kaggle과 데이콘 등 여러 경진대회의 소스들을 보고 코드를 공부하는 시간은 예전부터 가졌지만 막상 실질적으로 경진대회를 참여 하는 건 처음이었기 때문에 time management 및 그룹과의 협업등이 얼마나 중요하였는지 막상 끝나고 나서 깨닫게 되었고 강사님 말로는 submit 할 수 있는 12번의 기회는 다른 경연대회보다 훨씬 많은 기회라고 말을 듣자마자 결과 한번 한번이 나올때마다 얼마나 신중하게 냈어야 했는지 고민하게 되었다. (물론 우리 팀은 5명이라 인당 2-3번이 한계였지만)   일단 우리 조는 그래도 다..

AI 2024.09.20

<5일차> Statistics

3일동안 딜런 강사님의 기초적인 통계를 리뷰하는 시간을 가졌다. 학과 과목에서 들었던 discrete math 및 linear algebra가 실질적으로 도움이 많이 되었고 막상 학과에선 이 과목들이 왜 필수과목일까 (discrete은 필수, linear는 선택이었음) 생각했고, 안 그래도 수학이 많이 약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엄청나게 노력해서 pass했던 기억이 있었는데 이번 리뷰를 통해서 다시 한번 maching learning을 할려면 이 정도는 기본으로 알고 있어야겠구나를 느꼈고 이번 학습일지는 1,2일치 내주셨던 문제를 토대로 내가 풀었던 방식을 작성하면서 3일 과정을 요약해보고자 한다.  Latex를 사용해서 해보려 했으나(학과과정에선 latex를 썼다) 생각보다 티스토리에서 작성하는 게 오래..

AI 2024.08.23

<3일차>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이론 : python + langchain(및 LLM + RAG

일주일동안 김용담 강사님의 jupyter notebook을 이용해서 python의 기초 문법 및 응용 그리고 마지막으로 Langchain (QA engine 과 chatbot 등) 을 활용해서 프로젝트를 어떻게 개발할수 있는지 어떻게 보면 짧은 시간 안에 기본부터 심화까지 실속있는 강의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비록 마지막 이틀은 코로나에 걸리는 바람에 실시간 강의에 참여할 수 없었지만 이 학습 블로그를 통해 남겨주신 리뷰 code 및 pdf 파일등으로 전체적인 강의를 한번 리뷰해보고자 한다.  일단 python 문법 자체는 학과 과정에서 어느정도 배웠기 때문에 강의를 듣는 과정에서 그리 낯설지 않았다. 간단하게 배웠던 전체 파이썬 과정을 나열하고자 한다.    숫자 데이터 (Numeric Data T..

AI 2024.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