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14

<4일차> Git

2일동안 최주호 강사님의 git 에 대한 강의를 들었다. 학과 과정에서 git을 몇번 써봤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여러 충돌 해결 과정과 브랜치 관리하는데 있어서 어려움도 몇번 느꼈기 때문에 이번 기회에 앞으로의 포트폴리오 작성 및 다른 사람들과 프로젝트 할때 힘들지 않기 위해 제대로 다시 배울 수 있는 시간을 가져서 유익했던 시간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예전에는 무엇보다 git clone, push, pull, fetch 등 여러 명령어를 무지성으로 썼다면 이번에는 왜 이렇게 써야하는지, 실습을 통해 좀 더 자세히 알게 되었고 git의 역사와 vcs, dvcs 등은 이번 기회를 통해 처음 배웠기 때문에 앞으로의 git 활용에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 배웠던 내용들을 간단히 블로그에 적어보고자 한다. ..

AI 2024.08.09

<3일차>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이론 : python + langchain(및 LLM + RAG

일주일동안 김용담 강사님의 jupyter notebook을 이용해서 python의 기초 문법 및 응용 그리고 마지막으로 Langchain (QA engine 과 chatbot 등) 을 활용해서 프로젝트를 어떻게 개발할수 있는지 어떻게 보면 짧은 시간 안에 기본부터 심화까지 실속있는 강의 내용을 들을 수 있었다.  비록 마지막 이틀은 코로나에 걸리는 바람에 실시간 강의에 참여할 수 없었지만 이 학습 블로그를 통해 남겨주신 리뷰 code 및 pdf 파일등으로 전체적인 강의를 한번 리뷰해보고자 한다.  일단 python 문법 자체는 학과 과정에서 어느정도 배웠기 때문에 강의를 듣는 과정에서 그리 낯설지 않았다. 간단하게 배웠던 전체 파이썬 과정을 나열하고자 한다.    숫자 데이터 (Numeric Data T..

AI 2024.08.06

<2일차> 컴퓨터 공학 개론 Review

6일동안 박매일 강사님의 전반적인 컴퓨터 공학(computer science)의 basics(linux, 자료구조, 알고리즘 등) 및 간단한 데이터 처리 방법 (api, sql 등) 그리고 네트워크에 대해 전반적으로 리뷰, 그리고 간단한 실습을 거치는 시간을 가졌다.  전공자로써 자료구조, 알고리즘 등 어떻게 보면 컴퓨터 공학에서 (mostly backend 개발자들이 보는 coding test의 기초라고 할수 있는)접할 수 있는 여러 문제를 오랜만에 풀면서 학사 과정에 들었던 여러 과목들을 리뷰할 수 있는 좋은 시간이었고 mysql은 처음 써봤기 때문에(oracle db, mongodb만 써봤음) sql 설치후 간단한 CRUD 리뷰 및 테이블 작성 , aws에서 ec2로 원격 데스크탑을 만들어 리눅스 ..

AI 2024.07.25

1일차 - <특강>AI engineer란...

업스테이지 송인서 강사님의 강의 내용   사전 지식AI란?인공지능의 정의 인간의 학습능력, 추론능력, 지각능력을 인공적으로 구현하려는 컴퓨터 과학은 세부분야 중 하나머신 러닝과 딥 러닝전체적인 틀[AI: any program[finding prime number] 안에 머신 러닝[ML : AI learns how to play mario game] 그리고 그 안에 딥 러닝 [DL: chatGPT]AI engieer란 AI 기술을 이용해 문제를 해결하는 사람본론AI 기술 개발 과정문제 정의 및 데이터 수집모델 개발 및 평가벤치마크 평가필드 테스트AI Engineer의 역할데이터 엔지니어링 : 데이터 전처리(anomaly 제거 ) / 버전 관리등..모델링 및 모델 평가 : 구조 설계 및 학습/ 학습결과 분석..

AI 2024.07.17